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

2. 하루만 보면 안 된다: 레버리지 ETF의 '복리 구조' 이해하기

by 플럼밥집사 2025. 7. 8.
반응형

“나스닥이 10% 오르면 TQQQ는 30% 오르지 않나요?” 많은 분들이 레버리지 ETF를 처음 접할 때 가장 많이 하는 질문입니다. 이론적으로는 맞는 말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바로 ‘복리 구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레버리지 ETF가 왜 단순하게 3배, 2배 수익이 아니라 **훨씬 복잡한 결과를 낳는지** 그 구조를 현실적인 예시와 함께 이해해봅니다. 특히 장기 보유 시 수익률이 왜곡되는 이유를 알고 나면, 투자 전략을 완전히 다르게 짜게 될 거예요.

레버리지 ETF는 ‘하루 단위 수익률’을 추종한다

기억하셔야 할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이겁니다:

레버리지 ETF는 특정 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2배 혹은 3배로 추종합니다.

예를 들어, 나스닥이 오늘 하루 동안 1% 오르면, TQQQ는 약 3% 오릅니다. 문제는 이 ‘하루 수익률’이 매일 리셋된다는 점이에요.

즉, 다음 날도 또 새로 3배를 계산합니다. 이게 무슨 뜻인지 아래 예시로 설명드릴게요.

📉 예시 1: 단기 상승장의 경우

가정: 나스닥이 3일 연속으로 1%씩 상승한 경우

  • 1일차: +1% → TQQQ는 +3%
  • 2일차: +1% → TQQQ는 전날보다 다시 +3%
  • 3일차: +1% → 또 전날보다 +3%

이렇게 되면 QQQ는 대략 +3.03%의 수익이지만, TQQQ는 +9.27% 정도 됩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역시 3배 먹는 ETF!” 같죠.

하지만, 반대로 볼까요?

📉 예시 2: 횡보장의 경우

가정: 나스닥이 3일 동안 +1%, -1%, +1% 움직임

QQQ는 사실상 거의 제자리일 겁니다. 하지만 TQQQ는 어떻게 될까요?

  • 1일차: +1% → TQQQ +3%
  • 2일차: -1% → TQQQ -3%가 아닌, -2.91%
  • 3일차: +1% → TQQQ +2.91%

이걸 누적해보면? 원금은 줄어듭니다. 왜냐면 매일 ‘리셋된 3배’가 복리로 적용되기 때문이죠.

복리 효과는 좋은 것 아닌가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복리의 마법’은 지속적으로 우상향할 때만 해당됩니다. 하지만 레버리지 ETF는 높은 변동성과 리밸런싱 구조 때문에, 실제로는 복리 효과가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다시 말해, 오르락내리락 반복되는 시장에선 복리 구조가 수익률을 깎아먹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어요.

📉 실전 예: TQQQ 2022년 vs QQQ 수익률

2022년, 나스닥 지수가 약 -33% 하락했습니다. QQQ는 약 -32% 정도였고, TQQQ는? 무려 -76%에 달했습니다.

“에이, 3배니까 -99%는 아니네요?” 싶지만, 문제는 그 다음 해에 시장이 반등해도, 기준점이 너무 낮아져서 회복이 훨씬 어려워진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70% 손실 후 +100% 수익이 나도, 원금 회복은 불가능하죠. 이게 레버리지 ETF 장기투자의 치명적인 구조입니다.

그래서 레버리지 ETF는 장기투자하면 안 되나요?

정답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입니다. 만약 지속적인 상승장이 예상된다면, 장기 보유로 좋은 수익을 낼 수도 있어요.

하지만 다음 조건이 모두 만족돼야만 가능합니다:

  • 시장이 확실하게 우상향할 것 (예: 코로나 이후 2020~21년)
  • 급락장 없이 변동성이 크지 않을 것
  • 매일 리밸런싱에 따른 비용, 오차가 누적되지 않을 것

현실적으로는 이런 완벽한 조건이 지속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이 “레버리지 ETF는 장기 보유보다는 중단기 전략이 적절하다”고 조언하는 이유입니다.

투자자들이 흔히 하는 오해

❌ “QQQ보다 TQQQ가 3배니까, 당연히 수익도 3배겠지?” → ✨ 실제로는 **3배보다 훨씬 낮거나 더 위험할 수 있음**

❌ “나스닥 오르면 TQQQ도 무조건 수익 나겠지” → ✨ 오르는 ‘패턴’이 중요함. 하루에 올랐다가 다음날 빠지는 식이면 오히려 손해

❌ “장기투자하면 결국 회복하겠지” → ✨ 복리구조에선 회복이 훨씬 어려워짐. -70% 손실이면 +233% 수익이 나야 원금 회복

정리하며 – 전략이 필요한 이유

레버리지 ETF는 강력한 무기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복리 구조와 시장의 변동성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단순히 ‘오르면 더 먹겠지’ 식의 접근은 굉장히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TQQQ나 SOXL을 보유하고 있다면, 과연 지금 시장 상황에서 장기 보유 전략이 적절한지 한 번 더 고민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다음 편 예고

3편에서는 본격적으로 레버리지 ETF가 왜 이렇게 심한 등락을 보이는지, 그리고 그 원인이 되는 시장 구조와 상품 설계 방식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 3편. TQQQ, SOXL은 왜 이렇게 변동이 심할까? 에서 이어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