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

4. 장기투자 해도 될까? 시뮬레이션으로 보는 레버리지 ETF의 현실

by 플럼밥집사 2025. 7. 10.
반응형

“TQQQ 10년 들고 있으면 QQQ보다 3배 벌겠죠?” 이렇게 생각하고 들어가는 분, 의외로 정말 많습니다.

하지만 그게 그렇게 간단한 얘기라면, 우리 모두 지금쯤 레버리지 ETF 부자였을 겁니다.

이번 편에서는 **레버리지 ETF를 실제로 장기 보유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해보면서 현실적인 관점을 잡아보겠습니다.

기본 전제: 수익률은 3배, 손실도 3배?

레버리지 ETF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는 이렇습니다:

“기초지수가 10% 오르면 3배 ETF는 30% 오르겠지” “그럼 3년 들고 있으면 수익도 3배쯤 되겠지”

하지만 지난 편에서 이야기했듯, 레버리지 ETF는 하루 수익률의 3배를 추종합니다. 누적 수익률은 시장의 등락 패턴과 변동성에 따라 전혀 다르게 움직입니다.

실전 시뮬레이션 1: 2020~2021 상승장

📅 기간: 2020년 3월 저점 → 2021년 12월 고점 📈 나스닥100(QQQ): 약 +140% 상승 🚀 TQQQ: 약 +660% 상승

이 시기엔 기술주가 급등했고, 금리는 낮았고, 유동성은 넘쳤습니다. 그래서 TQQQ를 들고 있었던 투자자 중 일부는 실제로 자산이 6~7배 증가하는 경험을 했죠.

이 시기만 놓고 보면, “레버리지 ETF야말로 장기투자의 왕이다!”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런데 바로 다음 시기를 보면 생각이 달라집니다.

실전 시뮬레이션 2: 2022년 하락장

📅 기간: 2022년 1월 ~ 12월 📉 나스닥100(QQQ): 약 -33% 하락 💥 TQQQ: 약 -76% 하락

레버리지 ETF의 구조상, 하락장에서 손실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집니다. 한 번 손실이 크게 나면, 회복에 훨씬 더 많은 수익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TQQQ가 -76% 하락하면, 원금 회복을 위해선 +316%의 상승이 필요하죠.

장기 보유자의 진짜 고민: '변동성'과 '회복력'

같은 수익률이라도, **어떤 경로를 통해 도달했느냐에 따라 결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이게 바로 ‘변동성 드래그(Volatility Drag)’라는 개념인데요,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면 누적 수익률이 낮아지는 현상입니다.

예시로 아래의 두 가지를 비교해볼게요.

  • A 전략: 매일 1%씩 상승 → 5일 뒤 +5.1%
  • B 전략: +2%, -2%, +2%, -2%, +2% → 5일 뒤 수익률 = 거의 0%

즉, 아무리 좋은 ETF라도 출렁이는 구간에서 오래 버티면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실전 시뮬레이션 3: 2010~2023 장기 누적

“그래도 결국은 우상향이지 않나?” 하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그럼 13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TQQQ와 QQQ를 비교해보겠습니다.

📅 기간: 2010년 1월 ~ 2023년 12월 📊 QQQ: 누적 수익률 약 +900% 📊 TQQQ: 누적 수익률 약 +4,400% (※ 중간에 수차례 급락 포함)

오히려 장기적으로 보면 TQQQ가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건 맞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그 과정에서 감내해야 할 변동성과 리스크입니다.

예를 들어, 2020년 초에 1억 원 넣었다면… ✔️ 2021년 말엔 7억 원 ❌ 2022년 중반엔 2억 원으로 감소 ✔️ 2023년 말엔 4.5억 원 회복

이 과정을 견딜 수 있느냐는 완전히 다른 문제입니다.

SOXL는 더 심하다: 반도체 순환주의 영향

SOXL의 경우, 반도체 산업 자체의 순환 사이클을 타기 때문에 변동성이 훨씬 큽니다. 2021~2022년 한 해 만에 -90% 가까이 하락한 적도 있었죠.

그리고 반도체가 사이클 회복을 시작한다고 해도, 3배 ETF로 반등하는 데는 수 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결론: 장기투자할 수는 있지만 ‘조건’이 있다

레버리지 ETF를 장기 보유하고 싶은 분들께 드리고 싶은 조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시장 사이클을 이해하고 진입 시점을 전략적으로 선택할 것
  2. 단기 급락에 대비한 멘탈 방어 전략이 있어야 함
  3.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비중을 전체 자산의 5~10% 이내로 제한
  4. 정기적 리밸런싱과 이익 실현 시점 명확히 할 것

“TQQQ는 결국 오른다”는 말은 사실이지만, 그 사이에 무너지는 계좌도 많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합니다.

📌 다음 편 예고

다음 편에서는 이런 레버리지 ETF에 **언제 들어가야 할지, 타이밍을 어떻게 잡아야 손실을 줄이고 수익을 키울 수 있는지** 실제 지표를 활용한 전략 편으로 이어가겠습니다.

👉 5편. 지금 사도 될까? 레버리지 ETF 진입 타이밍 전략 에서 이어집니다.

 

반응형